전체보기(303)
-
[DataBase] 트랜잭션이란? (Transactio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19.02.11 -
IT - 상식이된 용어들 (펌)
너무 공감가는 내용들이 많아서 링크 걸어요 특히 사용 예가 너무 공감가네요~ 펌 : https://www.ihee.com/212 개비 (改備)의미: 있던 것을 갈아 내고 다시 장만함사용예) 대외계를 개비해야 한다.※아재들이 사용함 겐또 (けんとう)의미: 수를 헤아림. 어떤 일을 예상하거나 고려함.사용예) 겐또 때려보면 나오잖아? 디비를 말아넣는다의미: 어떤 정보를 가공해서 DB에 insert/update하는 일련의 작업사용예) ①DB를 말아서 넣어주겠다. ②수신정보에 고객정보를 말아서 넣어주라는 거지. 똥의미: 문제사용예) 똥싸고있네. 똥 싸놓지마라, 똥싸놨으면 치워야지. 네 똥은 네가 치워라 롤 (Role)의미: 역할사용예) 그건 제 롤이 아니에요. 리뉴얼 (renewal)의미: 새로이 하거나 새로 꾸..
2019.02.08 -
[MSSQL] WITH (NOLOCK) - (펌)
펌 : https://roadrunner.tistory.com/238 MSSQL에서 SELECT 시에 WITH (NOLOCK) 을 주면 공유잠금을 걸지 않고 바로 조회를 한다. MSSQL은 기본적으로 SELECT 시에 공유잠금이 걸린다. 즉, SELECT 문이 수행되는 테이블에 대해서 INSERT, UPDATE, DELETE 문이 수행되고 있다면 SELECT문은 선행 작업이 모두 끝날때까지 LOCK이 걸린다. 이때 SELECT 문에 WITH (NOLOCK)을 추가하면 선행작업의 결과와 관계없이 바로 SELECT문이 수행되어서 결과를 반환하게 된다. SELECT * FROM TABLE1 WITH (NOLOCK) SELECT 문장에서 여러 테이블을 조인해서 가져오는 경우 WITH (NOLOCK)을 사용하기 ..
2019.02.01 -
TLS (Thread local storage) (펌)
__declspec(thread) 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되어 자료를 찾다보니 정리 잘해놨네요~ 퍼다놓아요~ 근데, 아직 정적 TLS만 이해가요~ ㅠㅠ 좀더 이해가 쉽게 됬으면 좋겠는뎅~ (펌 : http://egloos.zum.com/sweeper/v/1985738) TLS (Thread local storage) 1. 요약 TLS(Thread Local Storage)는 스레드 별로 고유한 저장공간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다. 2. 본문 각각의 스레드는 고유한 스택을 갖기 때문에 스택 변수(지역 변수)는 스레드 별로 고유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레드가 같은 함수를 실행한다고 해도 그 함수에서 정의된 지역 변수는 실제로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위치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정적 변수와 전역 변수의 경우..
2019.02.01 -
chmod / chown - 권한 및 소유권 변경 (펌)
너무 잘 정리해 놓은글이 있어서 걍 퍼놓아요~ (펌 : https://conory.com/blog/19194 ) 리눅스는 여러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는 멀티유저 시스템이지요.. 왜냐면 리눅스는 서버용으로 만들어진 운영체제이기때문입니다..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여러 사용자가 들어오면 서버에 올려진 비밀자료 열람과 그것을 변조,수정,삭제를 할 우려가 높아집니다..그리고 그 비밀자료는 일부 사용자에게만 공개하는 것이였습니다. 하지만 모든사용자들이 다 볼 수 있겠죠.. 왜냐면 여러사람들이 사용하는 컴퓨터이기때문이지요.. 이 문제가 극복하기위해 리눅스에 한가지 기능을 추가합니다.바로 퍼미션(권한)이라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퍼미션은 말그대로 시스템에서 유지되는 권한기능입니다..참고로 윈도우도 퍼미션기능이..
2019.01.31 -
화면잠금 해제
설정 > 사생활 > 화면잠금 " 끔 " 으로 설정하면 끝~ 이 간단한 것도 모르면 짜증~
2019.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