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303)
-
Hyper-V와 vmware 1PC에 같이 사용하기
VMware를 사용중인데, Hyper-V를 설치한 후로는 이상한 메세지가 뜬다. 1PC 에 동시에 설치는 되어도 실행은 않되나 보다 그나 저나 이것 쓰다가 종료하고 저것 쓰고 이렇게는 못하는지 알아봤다. 방법이 있단다. (펌 : https://crazyits.tistory.com/entry/Hyper-V-%EC%99%80-vmware-%EC%9D%98-%EA%B3%B5%EC%A1%B4-%ED%95%98%EB%82%98%EC%9D%98-PC%EC%97%90%EC%84%9C-%EB%91%90%EA%B0%80%EC%A7%80-%EB%8F%99%EC%8B%9C-%EC%82%AC%EC%9A%A9) (Hyper-V 실행 및 vmware 중지)1. 관리자 모드로 CMD 실행2. bcdedit /set hypervis..
2019.02.17 -
윈도우10 인증키 구매 - 라이센스 종류
윈도우10 key 윈도우10 FPP버전??윈도우10 FPP버전은 한대의 컴퓨터에 설치가 가능하며, 다른컴퓨터에 재설치도 가능한 버전입니다.따라서, 컴퓨터를 변경하더라도 재설치가 가능한 윈도우10입니다.윈도우10 ESD버전 (이베이 구매해 소개하는 버전)윈도우10 ESD버전은 한대의 컴퓨터에 설치가 가능하며, 다른컴퓨터에 재설치도 가능한 버전입니다.위에 FPP와 성격이 비슷합니다. 컴퓨터가 변경되어도 재설치가 가능합니다.윈도우10 DSP버전??윈도우10 DSP버전은 한대의 컴퓨터 하드웨어에 귀속되어 있어 처음 설치한 컴퓨터에는 재설치가 가능하지만,다른컴퓨터에는 재설치가 불가하기에 가격이 저렴합니다.윈도우10 OEM버전??일반적으로 대기업브랜드 PC를 구입하면 대량으로 설치되는 윈도우OEM버전.따라서,..
2019.02.15 -
Linux [CentOS] - (Licmd : Linux Command) 유용한 명령어 모음 (2)
CentOS 7.5 기준으로 Test해보고 작성했음. 화면정리하기ctrl+Lclear 경로이동홈경로이동 : cd ~루트경로 이동 : cd / 사용자확인who : 머신에 접속한 유저whoami : 현재사용자who am i : 최초로 로그인한 사용자 화면정리하기ctrl+L 파일삭제rm -f 파일이름 : 파일무조건 지움 / 없어도 메세지 않나옴rm -rf 폴더이름 : 해당폴더 및 내부에 포함된 모든 파일들 삭제. 메세지 않나옴. Font 관련설치된 font들 확인 : /usr/share/fonts 에서 확인가능 / 복사해서 추가설치 가능폰트 캐쉬갱신 : fc-cache -f -v폰트 확인 : fc-list sh script 실행하기$sh filename.sh$./filename.shㅠㅠ.. 이간단한 것도~ 모..
2019.02.14 -
[CentOS] 보안만 patch (Update)
# yum list-security --security# yum update --security# yum updateinfo list security all업데이트 리스트 확인 보안관련 패치 업데이트 설치된 패치 리스트 확인# yum install yum-securityyum-security 설치 최신껄 깔아서 그런지 위의 명령어를 실행해도 보안 patch만 해보지는 못했네요~
2019.02.14 -
Maria DB / DB 정리 해놓은 좋은 blog
DB 에 대해 정리해놓은 곳(펌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mkuak&logNo=220583392375) 마리아 DB에대해 상세히 정리한 곳(펌 : http://sqlmvp.kr/220325416253) ㅠㅠ... 평생 다룰일 없을줄 알았는데~~
2019.02.12 -
트리거(Trigger)란?
설명이 너무 쉽게 되어 있어요~ (펌 : https://limkydev.tistory.com/154) 1. 트리거(Trigger)란? 트리거(Trigger)란 영어로 방아쇠라는 뜻인데, 방아쇠를 당기면 그로 인해 총기 내부에서 알아서 일련의 작업을 실행하고 총알이 날아갑니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에서도 트리거(Trigger)는 특정 테이블에 INSERT, DELETE, UPDATE 같은 DML 문이 수행되었을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작성된 프로그램입니다. 즉! 사용자가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동적으로 호출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트리거(Trigger)는 테이블과 뷰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대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전체 트랜잭션 작업에 대해 발생되는 트리거(T..
2019.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