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303)
-
Linux [CentOS] - yum 사용
설치 (install)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은 install 이며 설치할 패키지 명을 적어주면 된다. install 명령은 설치하려는 패키지가 의존하고 있는 패키지가 현재 시스템에 없을 경우 해당 패키지까지 자동으로 설치해 준다. 아파치 웹 서버에서 HTTPS 서비스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mod_ssl 패키지의 경우 아파치 웹 서버(httpd) 패키지가 필요하므로 "yum install mod_ssl"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자동으로 의존성을 확인하여 httpd 도 같이 설치하게 된다. 설치시 패키지명에 * 를 지정하면 해당 패키지명으로 시작하는 모든 패키지를 설치하게 된다. 예로 다음 명령은 "httpd", "httpd-devel", "httpd-manual" 패키지를 모두 다 설치한다. ..
2019.04.04 -
Linux [CentOS] - NTP 설정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19.04.04 -
Git이 SVN에 비해 좋은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19.04.03 -
yum, apt (패키지 관리자) update upgrade 차이 (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19.03.28 -
Linux [CentOS] - (Licmd : Linux Command) 유용한 명령어 모음 (4) - network 관련
방화벽 설정하기 CentOS 7 부터는 iptables 관련 명령어가 아니라 firewall으로 써야한다고 한다. (port 열기)firewall-cmd --zone=public --permanent --add-port=((포트번호))/tcp (적용)firewall-cmd --reload (확인)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firewall-cmd --list-ports (port 열린거 확인)netstat -nap | grep ((포트번호))0.0.0.0:((포터번호)) 가 출력되면 열린거랍니다.
2019.03.25 -
Character Device File vs Block Device Fil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19.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