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4)
-
[가상화] Virtualizaion 개념 (펌)
엄청난 내공이 느껴진다~ ㅠㅠ 퍼다 놓는다. https://glqdlt.tistory.com/244 VMware 와 Vsphere 에 대한 단상 업무용 PC에서는 VMWARE를 쓰고, 서버 인프라는 Vsphere를 구축해서 쓰고 있다. 두 개의 차이를 모르고, 같은 개념으로 알고 있는 데.. 차이점을 알고자 기록한다. 먼저 가상화(Virtualization)란 무엇일까? 가상화는 쉽게 얘기하면, 물리적인 컴퓨팅 자원의 한계를 극복,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행해지는 일종의 트릭을 뜻한다. 이게 무엇이냐면, 왜 가상화가 생겨났는지에 대한 어원을 보면 알 수 있다. 서버실에는 다수의 서버들로 가득차있고, 물리적으로 서버실이라는 공간안에 서버렉에 정렬하여 운영, 통제하고 있다. 그런데 서버 컴퓨팅 자원이 ..
2019.05.21 -
[CentOS] HW 정보보기 (2)
(펌 : https://db.necoaki.net/94) 리눅스 시스템 정보 보는 명령 cat /proc/cpuinfo : cpu의 정보 /proc/devices : 현재 커널에 설정되어있는 장치의 목록 /proc/dma : 현재 사용중인 DMA채널 /proc/firesystems : 현재 커널에 설정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 목록 /proc/interrupts : 현재 사용중인 인터럽트 에 대한 정보 /proc/ioports : 현재 사용중인 i/o포트 정보 /proc/kmsg : 커널이 출력하는 메세지 /proc/loadavg : 시스템의 평균 부하량 /proc/meminfo : 메모리정보 /proc/modules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커널 모듈 목록 /proc/stat : 시스템 상태 /proc/up..
2019.05.21 -
[virtualbox] 네트워크 설정 (2) -
네트워크 종류에 대한 설명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네요~ 어쨌든 제가 원하는거는 브리지 방식 (펌 : https://niceit.tistory.com/188 ) 버추어박스(VirtualBox) 네트워크 설정 버추어박스(VirtualBox)에서 VM 이미지를 생성하면 게스트OS에서 사용할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호스트OS의 버추어박스에서 제공하는 DHCP서비스에 의한 NAT를 사용하게 된다.(내부 사설 네트워크, ex: 192.168.0.x 사용) 일반적인 테스트 목적이나 내부적으로 사용할 용도의 VM인 경우에는 NAT를 사용해서 인터넷만 되면 상관 없지만 VM을 이용해 외부 서비스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VM자체에 외부 IP를 직접 할당받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외부 I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
2019.05.20 -
[virtualbox] 네트워크 설정 (1) - NAT, 브리지어댑터
브리지 어덥터 형태로 사용할일이 있어서 적용해보다가 관련 글 퍼놓습니다. 펌 : https://m.blog.naver.com/cumulusworld/50192630808 Virtual box 가상머신에 Ubuntu Linux 기본적인 설치가 끝난 후에는 간단한 업데이트만 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요즘 release되는 최신버전의 우분투는 윈도우처럼 간편해서 따로 설정이 필요없습니다. 하지만 현재 사용자의 PC 환경에 따라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네트워크 설정과 동작환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NAT] 기본적으로 설치 시 아무런 옵션변경이 없으면 네트워크는 NAT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NAT 는 호스트OS 의 네트워크 자원을 게스트OS가 사용하는 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019.05.20 -
Linux [CentOS] - (Licmd : Linux Command) 유용한 명령어 모음 (5) - 방화벽 관련(firewall-cmd)
역시 잘 정리되어 있네요. 펌 : http://hwangji.kr/sub/dev_leader/link/os/default.aspx?NHBBSID=NHBoardWebTip&NHBBSIDX=77 약간 수정해서 정리해서올립니다. 방화벽상태확인 firewall-cmd --list-all 포트허용 추가 sample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140/tcp # firewall-cmd --reload 포트허용 제거 sample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remove-port=8140/tcp # firewall-cmd --reload 포트 포워딩 sample # firewall-cmd --zone=pu..
2019.05.20 -
[window] 원격데스크 탑 - 포트 변경 ( 펌 )
너무 정리 잘해놓으셔서 가져다 놓습니다. 방화벽에 사용하려고 등록되어 있는 port 인지를 체크하는 프로그램이 하나 있으면 좋겠네요. 아님 몇번이상 접속시도해서 실패하면 source IP 에 대해서는 하루동안 접속 못하게 막는다거나~ ㅋㅋㅋ 펌 : https://www.dsun.kr/78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원격 데스크톱 포트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포트 번호 3389를 다른 번호로 변경하는 이유는 권한이 허용 되지 않은 사용자의 원격 접속을 차단하기 위해서 입니다. 제가 서버를 운영하면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해서 3389 포트 열어 두었습니다. 몇개월 운영 후 로그를 확인했더니 3389 포트로 1초에 2~3번의 알 수 없는 사용자로 부터 원격 접속시도가 계속 들어 오고 있었습니다. 패..
2019.05.20